전체 글9 [문학 핵심 개념] 풍유법의 정의, 예시 오늘은 풍유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이 약간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다양한 예시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먼저 풍유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풍유법이란? 정의 : 우화법이라고도 하며, 보조 관념으로 이면에 숨겨진 본래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 즉 표현함에 있어 본뜻은 숨기고 이변에 본래적 의미를 담아 내는 것을 말합니다. 속담이 대표적이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이 속담을 해석해보면, 표면적으로만 보면 낮에 하는 말을 새가 듣고, 밤에 하는 말은 쥐가 듣는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러 동물들을 말을 듣는구나 이렇게 우리는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이 상황 속에 숨겨진 의미는 우리가 하는 말을 누가 들을 수 있으니 말조심하라는 의미를 말하는 것입니다... 2024. 3. 19. [문학 개념 훈련 7편] 반어법의 예시와 정의, 해석 방법 오늘은 역설과 표현은 비슷하지만, 다른 반어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어법 정의 : 반어법은 표현할 내용이 실제의 의미와는 반대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반어는 실제와 반대되는 의미로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 사실과 반대로 이야기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츤데레라는 표현처럼 반대로 이야기한다고 꼭 그 의미만을 이야기하는 게 아닙니다. 예를 들면 어른들이 자신보다 어린 자녀나 아이가 잘못했을 때 "아이고 참 잘 한다~ ." 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을 많이 들었을 것입니다. 분명히 실수이고 잘 못했는데, 잘 못했다고 이야기하지 않고, 오히려 잘한다고 반대로 이야기한 것입니다. 그럼 정말 잘해서 말한 것일까요? 아닙니다. 반어법은 그냥 사실대로 말하는 것보다 반대로 말해 더 강한 인상을 주는 .. 2024. 3. 17. [문학 핵심 개념] 역설법의 정의와 예시 오늘은 어렵지만 시험에 단골로 많이 나오는 역설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표현법과 비교하면 2~3배 이상은 출제가 되는데요. 그 이유는 해석도 어렵지만, 그만큼 시의 주제와 많은 연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설법 정의 : 논리적 이치에 맞지 않는데, 일부로 그렇게 표현하여, 반대의 진리를 표현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논리적 이치에 맞지 않는 다는 것은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생각과 다르게 표현한다는 의미입니다. ' 찬란한 슬픔의 봄을' 이라는 표현을 생각해본다면 찬란한의 의미는 빛과 모양이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다라는 말이기 때문에 슬픔의 봄이라는 단어를 꾸며주는 것은 상식적인 논리로 맞지 않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봄은 꽃이 피는 계절임과 동시에 곧 금방 지게 되는데 여기에 느껴.. 2024. 2. 2. [문학 핵심 개념] 설의법의 정의, 예시, 활용법 (feat. 예시 3가지) 오늘은 문학의 핵심 표현 기법인 설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설의법 정의 : 누구나 알 수 있는 내용을 의문형으로 제시하여 상대방에게 알 수 있게 하는 방법 설의법은 질문 형식을 통해서 내가 아니라 상대방에게 결론을 내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우리가 보통 의문형이라고 하면, "밥은 먹었어?"와 같이 상대방의 의사를 궁금해서 물어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설의법은 보통 질문과는 다르게 궁금해서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질문자의 마음속에 답은 이미 정해져 있고 화자가 말한 대답을 청자가 대답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예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시험 기간이 되면 부모님들이 항상 자녀들에게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부모님 : 그렇게 핸드폰만 하고, 게임만 하면, 이번 시험 성적이 잘 나올까? .. 2024. 1.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