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비유법 중 하나인 은유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은유는 ~와 같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직유법과는 다르게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동일시하는 대표적인 비유법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은유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은유법이란?
- 두 대상을 동일하게 여김
- 원관념 A가 보조관념 B와 동일시하여 대상을 설명
- 본래의 의미를 표면에 나타내지 않음
- A는 B다의 형태로 나타냄
두 대상을 동일하게 여기기 때문에 표현 자체도 ~같은 게 아니라 ~다로 표현하게 됩니다. ~같다라고 하면, 비슷하다는 느낌인데, 바로 A는 B다 이렇게 직접적으로 말하면, 더 동일한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내 마음은 호수요 라는 은유적 표현에서 내 마음과 호수라는 두 대상을 마치 동일한 것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직유법 표현과 은유적 표현이 들어간 문장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너는 마치 마이클조던 같다고 말하면 직유법이고, 너는 마이클조던이다 이렇게 말하면 은유법입니다. 이렇게 두 대상을 가지고 직유법과 은유법을 둘 다 만들 수 있습니다.
은유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대상이 필요합니다.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을 원관념이라고 하고 동일시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개념을 보조관념이라고 합니다. 은유법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완전히 동일시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은유법의 예시는?
- 내 마음은 호수요
-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 내 마음은 부처다
은유법이 적용된 문장들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내 마음과 호수다는 문장에서 넓다라는 공통적인 속성으로 마음과 호수가 동일시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어디에 쓸 수 있는가?
- 시를 포함한 다양한 문학 작품을 읽을 때
- 두 대상의 연결성을 표현
- 시인의 속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음
이러한 은유법은 시와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것에 큰 도움을 줍니다. 시인은 다양한 사물에 상황을 보다 함축적이고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은유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내가 농구를 잘하는데, 드리블로 잘하고 슛도 잘 쏴서 정말 정말 잘한다라고 길게 표현하는 것보다 내가 마이클조던이야 라고 하면,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이고 확장적으로 나의 생각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은유법이 없다면, 표현이 계속 길어지거나 설명이 늘어지게 될 것입니다.
꼭 시가 아니더라도 문학 작품이나, 글에서도 대상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은유법, 풍유법, 열거법 등 표현기법은 여러 문제들에 직간접적으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특히 문제의 선지들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은유법이 나오게 되면 일단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찾고, 어떤 특성으로 연결되는지 찾아봐야 합니다. 위 문제에서도 꿈의 불꽃이라는 보조관념을 통해 꿈에 대한 열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원관념이 계속해서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합니다.
표현기법을 공부할 때에는 항상 예시까지 습득해서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단순히 그 뜻의 정의만 알고 있기 보다는 많은 시를 공부하면서 어떻게 쓰이는지 관찰한다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시나 문장을 봐도 표현만 봐도 은유법인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용된 시
깃발 <유치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여기서 이것은 깃발을 의미하며, 결국 깃발이 아우성, 노스탤지어의 손수건이라고 말하고 있는 은유법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깃발 = 아우성, 이렇게 두 대상이 시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고, 그래서 합축적이고 깃발의 속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국어 문학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핵심 개념] 역설법의 정의와 예시 (1) | 2024.02.02 |
---|---|
[문학 핵심 개념] 설의법의 정의, 예시, 활용법 (feat. 예시 3가지) (1) | 2024.01.08 |
[문학 핵심 개념] 의인법의 정의, 예시 (시 예시 5가지) (1) | 2023.12.29 |
[문학 핵심 개념] 활유법 정의와 예시 (1) | 2023.12.28 |
[문학 핵심 개념] 직유법 정의, 예시, 활용 (0) | 2023.12.26 |